In the intricate landscape of moral education, a multitude of perspectives converge to shape the ethical compass of individuals and societies. This mind map serves as a compass itself, navigating through the philosophical,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cultural realm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moral values. As we embark on this exploration, we delve into the rich tapestry of perspectives that contribute to the nuanced understanding of what is morally right and how we instill these values in future generations.
Edited at 2023-09-01 11:36:06In the intricate landscape of moral education, a multitude of perspectives converge to shape the ethical compass of individuals and societies. This mind map serves as a compass itself, navigating through the philosophical,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cultural realm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moral values. As we embark on this exploration, we delve into the rich tapestry of perspectives that contribute to the nuanced understanding of what is morally right and how we instill these values in future generations.
이 마인드 맵은 도덕 교육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다룹니다. 도덕 교육의 관점, 흐름, 수업 모형, 교육과정, 도덕과 교육의 본질과 특성, 도덕 심리학적 기초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맵은 교육자, 학생, 학부모, 교육 정책 제정자 등 도덕 교육에 관심 있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유용합니다. EdrawMind를 사용하여 제작된 이 맵은 도덕 교육의 다양한 측면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In the intricate landscape of moral education, a multitude of perspectives converge to shape the ethical compass of individuals and societies. This mind map serves as a compass itself, navigating through the philosophical,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cultural realms that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moral values. As we embark on this exploration, we delve into the rich tapestry of perspectives that contribute to the nuanced understanding of what is morally right and how we instill these values in future generations.
이 마인드 맵은 도덕 교육에 대한 다양한 측면을 다룹니다. 도덕 교육의 관점, 흐름, 수업 모형, 교육과정, 도덕과 교육의 본질과 특성, 도덕 심리학적 기초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맵은 교육자, 학생, 학부모, 교육 정책 제정자 등 도덕 교육에 관심 있는 다양한 사람들에게 유용합니다. EdrawMind를 사용하여 제작된 이 맵은 도덕 교육의 다양한 측면을 시각적으로 이해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도덕 교육의 관점
도덕 사회화론
목표
품성
개인을 도덕적으로 사회화 -> 친사회적가치주입->사회적 존재로서의 품성을 기름
중점
결과
행동으로 산출되는 것
주입된 가치를 실천했는지 여부
교화는 어쩔 수 없다.
내용
가치의 구체적인 행위규범을 전수 주입
대표학자
뒤르켐
도덕성의 구성요소
규율정신
집단에 대한 애착
자율성(자기결정)
비이성적인 방법
벌의 사용
권위의 사용
도덕적 사회화 접근방법
모범사례
교사의 모범적인 행동
문학작품
도덕성 발달론
목표
추론
도덕적 사고 판단력
자율적인 도덕적 행위자
도덕 문제를 주체적으로 사고하고 해결할 수 있는 사람
중점
과정
도덕적 의사결정
형식
사고의 틀
대표학자
피아제
뒤르켐이론의 비판
뒤르켐이 언급한 자율성이 진정한 자율성이 아님
진정한 자율성: 서로 협동하고 상호존중에 근거한 도덕성
권위와 벌 사용 -> 타율적 도덕단계에 머물게함
타율적 도덕성 -> 자율적 도덕성
콜버그
전기이론
도덕적 토론수업모형
3수준 6단계
인습 전
처벌과 복종의 정향
도구적 상대주의 정향
인습
착한 아이 정향
사회 유지의 정향
인습 후
사회 계약적 정향
보편적 윤리적 정향
과정 강조
후기이론
뒤르켐의 영향
형식만큼 내용도 중요하다
실생활 문제
교화는 필요하다
학교 혼경과 활동 중시
판단, 추론 < 행동자체
정의로운 공동체 접근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운영되는 운영체
서브 주제
콜버그가 생각하는 도덕교육: 가치의 전수가 아닌 자율적인 도덕적 행위자가 될 수 있도록 고무해주는 것
도덕교육의 흐름
1~3차 (행동적 접근)
행동 or실헌 중심의 도덕과 교육
덕목 주의적 접근
덕목의 주입 -> 반족, 실천 강조
특징
목적
전통적 가치/덕목 전수
도덕의 사회화 추구
사회의 지배적인 가치를 습득하고 따르도록 하는 교육방식
수동적인 인간
행동의 결과에 초점
교수방식
타율적인 방식
가치수입 설득, 설명, 모방, 강화
뒤르켐
도덕 사회화론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행동+인지)
반두라는 행동주의임
모범감화학습모형
행동을 관찰, 모방, 인지적 특성에 의한 학습 강조 -> 행동변화
모방: 행동, 동작과 같은 불연속적 반응의 재생
단순히 행동따라하기
동일시: 다양한 형태들을 수용하는 것
내면까지 수용
인지적 매개의 중요성
자신에게 주는 의미를 인지적으로 파악
관찰학습
강화
직접 강화 : 자신 행동 이후에 받는 칭찬과 보상
대리강화: 다른 사람의 행동이나 결과를 관찰하고 이를 모방
자기 강화: 자신 내적 기준에 따라 스스로 보상
과정
주의과정
다른 사람이 어떻게 하는지 주의깊게 살펴보기
파지과정
모범이 되는 행동 기억하기
운동 재생과정
연습
동기화 과정
대리강화를통해 행동의 동기강조
안다고 다 행하는 것은 아니다.
4~6차(인지적 접근)
자율론적 접근
개인의 자율적, 합리적 가치판단
자신의 가치 결정 강조
가치 상대주의
도덕성 발달론
피아제
타유적 도덕성 -> 자율적 도덕성
타율적 도덕성
규칙=절대적인 것
도덕적 책임: 행위의 결과
도덕적 행위의 본질: 성인의 권위에 복종
단계
자기중심적 도덕단계
콜버그의 역할 채택 능력이 제한 -> 자신의 입장과 타인의 입장을 구분하지 못함
인간 법칙과 자연법칙을 혼동함
권위주의적 도덕 단계
권위에 전적으로 의존한 도덕 판단
자율적 도덕성
규칙의 상대성 인정
도덕의 책임: 의도
공정성의 의미를 이해
단계
상호성의 도덕단계
도덕규칙은 사회에서 만드는 것
공정의 도덕단계
공감적 연민을 바탕으로 하는 도덕 관계\
개인이 처해있는 특수한 상황을 고려하면서 평등을 추구함
콜버그
도덕성 발달 이론
콜버그의 정의윤리
+1단계 -> 인니적 불균형 -> 인지적 발달
도덕적 딜레마(가상적인 딜레마)
인습이전의 단계
1단계: 처벌과 복종의 정향
2단계: 도구적 상대주의 정향
인습 단계
3단계: 착한 아이 정향
4단계: 사회 유지의 정향
인습 후 단계
5단계: 사회 계약적 정향
6단계: 보편적 윤리적 정향
특징
똑같은 상황을 제시해도 단계애 따라 다른 문제해결방식을 보인다.
불변적 계열, 순서, 연속성 형성
구조적 전체: 어떤 상황에서든 같은 단계의 사고를 한다.
인지단계는 위계적 통합체이다.=계층적 통합
다양한 문화에서도 계열의 보편성을 지님
어느 나라든 똑같은 발달함
비판
퇴행의 문제
이행의 문제
아동 상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 -> 도덕적 태도형성 : 아동의 자발적 행동의 결과
도덕적 판단과 도덕적 행동 불일치의 문제
남성이 더 우월하다.
정의적 측면의 발달을 등한시함
배려윤리 반박
자율성 함양 방법
자율적 토론
도덕적 토론수업모형
콜버그
가치화 과정
가치 명료화수업
래스
단점
교사의 가치중립적 태도
도덕적 회의주의 촉진
가치 상대주의가 지나쳐서 도덕 자체를 부정하게됨
사회유지 근간이 되는 기본 가치체계 내면화와 습관화 실패르 초래함
공동체 해체 초래
인지적 측면만 강조
도덕적 영역을 너무 협소하게 규정함
행위의 정당한 근거 > 행위자의 인격
논쟁능력과 토론실력 > 도덕적 실천
행위: 어떤 가치를 합리적으로 선택해야 하는가
행위자: 어떤 인간이 도덕적인 문제인가
행위자의 인격보다 행위의 원리나 규칙을 공식화하는데 관심을 둠
도덕적 지식과 실천의 분리
길리건 나딩스의 배려윤리(정의)
정의적 측면 강조
길리건의 여성 도덕 발달론
도덕의 영역
정의윤리: 남성의 도덕이라 하는 정의와 권리의 도덕
배려윤리: 여성의 도덕이라 하는 배려와 책임의 도덕
상호보완
배려도덕성의 발달
1수준: 자기 생존과 이기성
1 과도기 이기심에서 책임감으로의 이해
2수준 책임과 자기 희생
2 과도기 동조에서 새로운 내적 판단으로의 이행
3수준: 비폭력적 배려와 책임
배려윤리와 정의윤리 비교
정의윤리-콜버그
개인: 객관적인 존재(개별적인 자아)
도덕적 문제: 공평한 규칙, 원리, 표준들에 호소함
배려윤리-길리건
개인: 상호연결된 자아(관계적인 자아)
도덕적 문제: 배려의 행위를 통해 해결
나딩스의 배려
배려자의 의식 상태
몰두
상대방이 느끼는 것을 함께 느끼는 것
일반적인 감정이입과 다름
동기적 전치
타인을 돕기 위해 할 수 있는 것에 대하여 생각
몰두를 하다보면 그를 위해 무엇인가를 돕고자 하는 상태가 됨
배려자와 피배려자
상호성
피배려자의 역할
피배려자의 의식
감수: 배려를 마음으로 받아들임
인정: 배려를 받았다는 것을 인식
반응: 배려에 대한 반응
배려윤리 교육방법
모범 보이기: 교사가 모범을 보임
대화: 도덕적인 대화
실천: 배려를 실천할 기회제공
인정과 격려: 그 사람 ㅇ나의 좋은 자아를 인정하고 고려
배려윤리와 덕 윤리 비교
배려윤리:배려하는 관계 안에서 가르쳐야함
피배려자의 역할 중시
관계의 윤리
덕윤리: 개별적인 덕을 가르침(배려자의 의식상태에만 치중)
프로이트-도덕 심리학
도덕의 정의적 측면을 중시함
인성의 구조
원초아(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도덕적인 나
내적 자제력
사회규범과 기준이 내면화된 상태
양심: 하지 말아야 할 것
수치심, 죄책감
자아이상: 해야할 것
긍지와 자부심
7차~현재(통합적 접근)
인지 +정의 +행동 강조
덕 교육
아리스토텔리스
모든 행위의 궁극적 목적: 행복
덕
지적인 덕
인지적 측면
교육을 통해 획득
실천지(이해/판단)
무엇이 옳고 그른지 분별하고 판단
이해
도덕적 지식 이해
판단
도덕적 사고 판단력
도덕적인 덕
정의 행동적 측면
습관을 통해 획득
중용
상호보완적
특징
행위자
어떤 행위를 해야하는가 보다 어떤 인간이 되어야 하는지 관심을 가짐
통합적 접근
도덕 사회화론 +도덕성 발달론
개인주의와 공동체주의와의 조화
통합적 인격교육적 접근
리코나
인격: 선에 관해 알고, 열망하고 실천하는 것
도덕적 앎-도덕적 감정-도덕적 행동의 상호작용
학교의 역할 중요성
학교-가정-지역사회가 연꼐하여 교육해야
수업모형
지식이해수업모형(1차시: 인지적 접근(지혜)-도덕적 지식이해
가치사례의 제시 및관련 규범 파악
가치규범탐구 및 이해의 심화
가치판단(3차시: 인지적 접근-도덕적 사고판단력)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 및 분석
도덕판단 . 합리적 의사결정의 학습
모범감화(2차시:정의적 접근-도덕적 감정 정서)
도덕적 모범의 제시와 관련내용파악
도덕적 모범의 탐구 및 감동감화
가치심화(2차시:정의적 접근-도덕적 열정 의지)
가치사태의 제시 및 성찰
가치규범의 추구 및 심화
실습실연(3차시:행동적 접근-도덕적 행위 기능 능력)
모범적 행동의 제시 및 이해
모범적 행동의 실습 실연
실천체험(3차시: 행동적 접근-도덕적 행동성향습관)
실천체험주제설정 및 계획
실천체험학습활동 및 실행
실천체험 결과발표 및 도덕적 정서 의지 강화
수업모형
역할놀이수업모형
역할놀이 준비
참가자설정
무대설치
참여적 관찰자로서 청중의 준비
역할놀이 시연
토론 및 평가
재연
경험의 공유와 일반화
개념 분석
분석될 가치개념의 확인
개념의 전형적인 사례와 개념의 반대되는 사례의 탐구
개념의 경계에 해당하는 사례 확인
그 개념과 관련된 개념의 분석
가상적인 사태에의 적용
분석된 의미의 수용 여부 검토와 정리
가치갈등해결수업모형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
관련된 규범의 확인 및 의미파악
문제 사태의 성격분석
자기 입장의 선택과 정당화
자기 입장의 수정 및 대안 숙고
가치분석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
가치 문제의 확인과 명료화
자기 입장 설정 및 사실적 타당성 탐색
잠정적인 가치 결정 및 가치 원리의 검토
입장의 수정 및 의사결정
실제 동기 강화 및 일상생활 확대의 적용
도덕이야기수업모형
학습 문제 인식과 동기유발
도덕적 이야기 제시 및 주요 내용 파악
도덕적 이야기 탐구 및 자신의 도덕적 경험 발표와 공유
자신의 도덕 이야기 또는 유사한 상상의 이야기구성
정리 및 확대적용과 실천 생활화
도덕적 토론학습모형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
도덕적 토론의 도입
도덕적 문제 부각하기
왜 라는 질문하기
상황을 복잡하게 하기
도덕적 토론의 심화
심층적 질문하기
인접단계의 논의 강조하기
명료화와 요약하기
역할채택 강조하기
실제 동기 강화 및 일상생활 확대의 적용
합리적 의사결정 수업모형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와 분석
관련 규범의 확인 및 그 이미와 타당성 파악
여러 대안의 설정과 각 대안의 결과 검토
대안의 선택 및 정당화
대안 선택의 수정 및 잠정적 의사 결정
가치 명료화 수업모형
도덕적 문제 사태의 제시
선택
존중
행동
집단 탐구 수업모형
탐구 문제의 설정
탐구 계획의 수립
탐구의 실시
탐구 결과 발표 논의
종합정리 및 평가
경험학습 수업모형
경험학습의 주제 설정하기
경험학습 계획 세우기
경험 학습 실행하기
경험의 교류의 논의를 통해 경험을 공유하고 일반화기
종합정리 및 평가하기
교육과정(도덕)
교학방
도덕함 지도
탐구, 성찰, 실천 할 수 있는 적합한 방법을 활용하도록 지도
통합적 발달 지도
인지적 요소
도덕적 지식이해
도덕적 사고 판단력
정의적 요소
도덕적 강점 정서
도덕적 열정 의지
행동적 요소
도덕적 행위기능 능력
도덕적 행동 성향 습관
6수업 과정 절차
교과역량 함양
자기존중 및 관리 능력
도덕적 사고능력
도덕적 공동체 의식
도덕적 대인관계 능력
도덕적 정서 능력
윤리적 성찰 및 실천 성향
학생의 발달단계, 수준, 흥미를 고려하고 도덕적 경험과 연결될 수있는 학습목표 설정
사회정서학습
타인배려, 긍정적인 대인관계
학교폭력
정의로운 학급 공동체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운영되는 공동체
학교폭력
콜버그 후기이론
정의로운 공동체 접근
계기 자료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는 특정주제에 대해 교육할 필요가 있을 때 이루어지는 교육
객관적인 입장 유지
학교-가정-지역 연계 프로그램
리코나
인간상
정의로운 시민
도덕적인 인간
책임
인과적 책임
존재론적 책임
평가방향
통합적 평가
학생 수준에 맞는 적합한 평가 방법 활용
성취기준을 평가의 기준으로 활용함
평가 결과는 교수학습개선에 활용
도덕 지총1-1
도덕과 교육의 본질과 특성
동양 윤리학
공자
맹자, 순자에 의해 발전
인간 이해와 사랑의 실천
강조점
사상의 핵심
인
"극기복례하여 인을 이룬다."
외형적 요소
예
도덕적 행위 규범
사회적으로 '인'을 표현하는 올바른 방법
분별적 사랑: 별애
더 좋아하고 덜 좋아함
교육방법론
수기
내재적 수양 방법
치인
도덕 교화 방법
실천 요목
효제
부모에게 효도
충서
충성을 다하고, 신하에게 아량을 베품
소인과 군자의 구별
대동사회: 분배의 형평성을 강조
추기급인: 나를 미루어 타인에 미침
서: 공감
공자와 맹자: 하늘과 인간은 하나다. 도덕의 근거는 하늘
순자: 하늘은 그냥 하늘. 자연이다.
맹자
도덕적 선한 본성의 회복과 확충
강조점
성선설
불인인지심
"사람에게는 남에게 차마 못하는 (어진)마음이 있다."
4덕
인
의
예
지
4단
측은지심
수오지심
사양지심
시비지심
호연지기
도덕적 본성을 어떻게 제대로 구현할 것인가에 중점
맹자의 수양법: 열세고 당찬기운
상지와 지지: 인의를 받드는 것
왕도정치
왕도는 덕으로 정치를 하는 것이다.
교육 > 선한 정치
상지(보존) + 지지(함양) -> 인의 실현
그 마음을 보존하고, 그 본성을 함양하라
양지양능: 생각하지 않아도 아는 것 = 선척적 도덕 자각능력 / 배우지 않아도 실천할 수 있다 = 선천적 도덕 실천능력
패도군주를 내쫓을 수 있음: 패악을 부리는 군주를 몰아냄(혁명)
항산 항심론
대인
순자
인간 욕망의 조절과 사회적 규범의 확림
강조점
성악설
학문의 최종 목적
'예'의 확립
예: 규칙, 규범, 제도
교정의 틀
도덕교육
화성기위
악한 본성의 변화 -> 인위적으로 도덕인을 만듬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본성대로 두면 다 싸움
사농공상
차등분배
군자, 선비, 성인
도덕 지총1-1
도덕과 교육의 본질과 특성
서양 윤리학
선에 대한 참 지식으로서의 덕성 계발
인지적 접근
소크라테스
이성적 숙고 -> 참된 지식 획득 -> 덕을 지님
덕 = 지식
지행합일설
알면 행할 수 밖에 없다.
지덕복합일설
참된 앎은 덕을 가져오고, 덕을 가진 사람은 진정 행복할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산파법(문답법)
플라톤
이성적 숙고 -> 현상의 본질 파악
형상론
이데아계
이성에 의해 파악되는 완전한 세계
현실세계(현상계)
이데아를 모방한 불완전한 세계
4주덕
지혜
용기
절제
정의
도덕교육의 중점
비판적 지성
바른 판단력
유덕한 인격인의 육성
통합적 접근
아리스토텔레스
3측면 6요소
최고의 선 = 행복
덕을 지닌 존재 = 유덕한 인격인
인간의 정신
이성적인 부분
인식적 부분
사량적 부분
지적 덕
교육
실천적 지혜의 덕
도덕적 지혜의 덕
실천지(이해, 판단)
비이성적인 부분
이성적인 것을 어느정도 지닌 부분
도덕적 덕
습관
중용
절제
용기
정의
배려
완전히 비이성적
자율적 도덕인의 육성
도덕성 발달론
칸트
콜버그에 영향을 줌
강조점
실천 이성의 명령
마땅히 해야 할 바를 생각하고, 그것을 스스로의 의지로 결정하는 능력
= 도덕법칙
: 이성에 의해 스스로 만든 법칙
의무의 윤리학
= 정언명령
특정한 조건/상황에 좌우되지 않는 무조건적인 명령
"인간을 수단이 아닌 목적으로 대우하라"
콜버그(6단계): 보편적 윤리적 정향
인간 존엄성 강조
내적동기: 선의지
발달단계(연령)
유아기 -> 아동기-> 학생기
교육적 접근: 양육과 훈육, 도야
도야: 바람직한 인간을 형성하도록 하는 교육적 작용
도야의 방법:
이성에 입각한 이해와 사고
소크라테스식의 방법
실제적인 경험
도덕 사회화로서의 도덕 교육
도덕 사회화론
뒤르켐
강조점
사회화
=교육
개인적 존재 -> 사회적 존재의 과정
도덕성 발달 단계
규율 정신 -> 집단에 대한 애착 -> 자율성(자기결정)
도덕교육이 가장 잘 시행되는 곳
초등학교
민주적 인격인으로서의 도덕적 성장
듀이
경험주의 교육
강조점
민주주의
: 정부조직/법적 및 제도적 장치 이상의 것
= 하나의 도덕적 생활양식
교육으로 이룩
인격(통합적 관점)
행동적 측면
지적 측면
정의적 측면
도덕성 발달 단계
본능적(습관적)도덕의 단계
사회적 관습의 도덕 단계
자율적 도덕의 단계
학교교육에서 중시해야할 중요한 도덕적 원리
사회적 측면
사회적 정신 -> 바람직한 사회 구성원
심리학적 측면
교육적 경험 -> 도덕적 성장
다양한 학교에서의 경험 -> 도덕적 성장 -> 민주적 인격인 -> 민주주의 실현
의무윤리교육과 덕 윤리 교육의 상보적 추구
프랑케나
의무 윤리학과 덕 윤리학의 종합 추구
의무윤리학
칸트-도덕성 발달론
덕 윤리학
아리스토텔레스-통합적 접근
도덕교육론
MEX
Moral Education X
지식이해/사고판단력
MEY
Moral Eduction Y
품성/실천
합리적 도덕성과 건전한 인격 형성의 도덕교육
피터스
우리나라 도덕교육의 BIG영향
도덕수업순서의 변화
인지 -> 행동 -> 인지 -> 정의
타율적.인습적 도덕성 -> 자율적. 합리적 도덕성
타인자합
초등)도덕사회화론 -> 중등) 도덕성 발달론
아동들은 전통과 습관의 뜰을 지나 이성의 궁전으로 들어갈 수 있고 또 들어가야만 한다.
도덕 지총 1-2
도덕 심리학적 기초
정신 분석학
프로이트
초자아
양심
죄책감, 수치심
긍정적 자기이상
격려자
행동주의
반두라
관찰, 모방 -> 행동변화
인지적 능력을 무시함
관찰학습 4가지 과정
주의
파지
운동재생
동기화
인지 발달론
도덕성 발달론
피아제
타율적 도덕성 -> 자율적 도덕성
타율적
자기 중심적 도덕단계
권위주의적 도덕단계
자율적
상호성의 도덕단계
공정의 도덕단계
콜버그
도덕성 발달단계
3수준 6단계
인습 전
1. 처벌 및 복종의 정향
2. 도구적 상대주의 정향
인습
3. 착한 아이 정향
4. 사회 유지 정향
인습 후
5. 사회 계약적 정향
6. 보편적. 윤리적 정향
특징
불변적 계열
계열의 보편성
교사의 역할
도덕문제제시(실질적/가설적)
도덕적 추론 유도
원활한 토론 진행
소크라테스식 문답법
위 단계와 접촉, 교류할 때 더 큰 발달 도모
정의로운 공동체 접근으로 발전
배려와 책임 윤리
길리건
3수준 2과도기
도덕의 유형
여성의 도덕
따뜻한 배려
책임
남성의 도덕
콜버그
정의
권리
나딩스
피배려자와 배려자간의 상호성
배려자의식
몰두
동기적 전치
피배려자 의식
감수
인정
반응
구체적 교육 방법
모델링
대화
실천
인정. 격려
도덕 지총(나머지)
도덕과의 기능
교과 통합의 기능
여러교과에서의 인성교육을 취합하여 보완-심화-발전
개인적 측면에서의 가치통합의 기능
여러가치가 바람직한 기준과 원리에 의해 건전하게 조직되고 체계화 되는 것
사회적 측면에서 공동체의 사회 통합 기능
사회 질서 유지/ 공동체적 삶 영위
초등 도덕과 목표
3측면 6요소
인지적 접근
도덕적 지식 이해
도덕적 사고 판단력
정의적 접근
도덕적 감정 정서
도덕적 열정 의지
행동적 접근
도덕적 행위 기능. 능력
도덕적 실천 습관
성취기준형 내용 진술의 기본형태
지식 + 행동
~을 ~한다(~할 수 있다.)
내용체계표
영역 관련 유의할 점
느슨/중첩
필요하면 영역간 넘나들 수 있음
도덕과 교학방유
도덕과 학습 지도의 기본 원리
정지, 연인심 통행 반복하면 집가서 자주 구토해
1. 정합성의 원리
2. 인지화의 원리
3. 심정화의 원리
4. 행동화의 원리
5. 통합성의 원리(2021)
6. 지적 . 도덕적 발달단계 고려의 원리
저학년: 모방 수용
고학년: 도덕적 사고판단력(합리적 결정, 선택)
7. 자율적 탐구 학습의 원리
8. 주체적 자각화와 개별화의 원리
도덕 가치규범을 주체적으로 자각하는 개인
9. 구체성과 현실성의 원리
뒤르켐
10. 능동적 참여와 토론 학습의 원리
콜버그
11. 반복과 계속성의 원리
12. 집단 활동의 원리
협동성
13. 학교. 가정. 지역 사회의 연계에 의한 지도의 원리
리코나
도덕과 학습지도방법
직접적 가치 전수방법
교사중심
도덕 사회화론과 유사
무조건 강요와 주입X
방법
강의(설명)
도덕 이야기
정보통신기술(ICT)활용
모형 제시
모범 사례 제시
대리 경험 = 간접 경험
대리경험 or 간접경험을 통해 학습이 강화되면 대리강화됨
독서
사회의 도덕적 전통과
간접적 가치 탐구 방법
토론 . 토의
문답
역할놀이
집단 탐구
글쓰기
실천 . 체험을 통한 가치 학습 방법
실습 실연
현장 학습
덕목 실천 학습
집단 수련 활동
참여적 실천 체험 활동
모형